서양인들이 13일의 금요일을 불길하게 느끼는 진짜 이유

반응형
반응형

외국 영화를 보면 13일의 금요일이 등장하는 공포 영화를 자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전에 실검 1위에 오른 13일의 금요일 검색어.

그렇다면 왜 서양에서는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하다고 말하는 것일까?

먼저 이는 역사적인 사건들로 인해 미신이 생겼다고 보고 있는데, 어떤 사건들이 있었냐면

기독교에서 12명의 제자와 최후의 만찬을 한 예수. 이 자리에는 총 13명이 식사를 했는데, 예수를 팔아 넘긴 유다가 13번째로 들어왔다 + 또 이 유다 때문에 예수가 13일의 금요일에 십자가형에 처했다는 속설.

또 이 유다의 이름 이스카리옷 유다(Iudas Iscariot)가 13글자이기 때문이라는 속설까지 더해져 서양 사람들은 13일의 금요일을 불길하다고 여긴다는 게 통상적인 설명이라고 한다.

하지만 13자체는 기독교 발생 이전부터 흉한 수로 여겼다는데, 미신이긴 하지만

켈트인들은 켈트의 왕이 전장으로 출정할 때 12명(왕 + 마부 + 10명의 경호원)이 함께 했는데, 이들이 달릴때 12명이 달리지만 죽음이라는 것이 13번째로 같이 달린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또 북유럽 신화에서 사기와 기만을 주특기로 하는 신 로키가 발두르 잔치에 나타난 13번째 손님이라고 한다.

로키는 이 잔치에서 발두르를 살해하고 잔치를 파탄냈다.

또 이것은 13일의 금요일 미신때문에 생긴 카더라이지만

영국 해군에선 13일의 금요일 미신을 깨보겠다고, 13일에 금요일에 HMS프라이데이 호를 출항시켰는데, 배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이런 소문도 있다.

물론 카더라라 이런 배는 없었다.

이런 미신때문에 유럽인(유럽팀)은 13일에 금요일에 경기를 하면 경기가 잘 풀리지 않는다고 여기기까지 한다고 한다.

한편 이탈리아에서는 반대로 13이 행운의 숫자라고 한다. 이탈리아 작품을 보면 13일의 홀리데이라는 내용도 있다는.. 하지만 13일의 금요일공포 영화 등으로 젊은 세대는 13일의 금요일을 불길하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한 날이 된 이유는 역사적인 사건과 더해져, 또는 각 나라별 신화, 사건 등과 더해져 미신이 점점 커지면서, 불길한 날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서양에서는 13일의 금요일 징크스를 깨기 위해 깨진 거울을 피하거나, 검은 고양이 앞을 지나가지 않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한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